폐수처리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슬러지는 환경보호와 최대 이점을 보증하기 위해 확실히 폐기하거나 재활용해야 한다. 90% 이상 수분을 함유한 폐수 슬러지는 수송과 처리 및 폐기에서 유기 고형물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슬러지 부피 감소는 운전과 처리 및 폐기비용 최소화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또한 슬러지 안정화와 탈수 및 분해는 슬러지 순환을 위해 필요하다.

진균은 이질 진핵생물로 유기나 에너지가 풍부한 영양 이용성에 의존하고 있으며, 부패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는 생물이라 자양분은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얻는다. 대부분의 진균은 독립생활을 하여 FF, 이스트, 버섯과 같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부 진균은 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데 이들 진균을 유주자라 한다. 폐수 슬러지에는 세균, 박테리아, 진균, 미세조류 및 원생동물과 같은 여러 미생물이 내재되어 유기자원이 풍부하다. 폐수 슬러지 자체가 진균 성장에 필요한 영양물을 갖추고 있어 많은 종의 진균을 슬러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1976년 Diener 등은 38종의 진균을 활성 슬러지로부터 채취하였다.
2001년 Molla 등은 6개의 다른 진균류를 선발하여 효율적인 퇴비화 바이오전환을 달성하였다. 도시폐수 슬러지에 적용 가능한 진균류는 실험을 통하여 시리즈로 선발하였다. 2001년 Molla 등에 의하면 혼합 곰팡이 배양방법으로부터 필요한 효소를 충분히 합성하여 대체 사용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었다. 1997년 Gutierrez-Correa와 Tengerdy에 의하면 일반배양은 바이오매스 셀의 비교적 적은 생산 증가와 비교하면 혼합배양은 높은 효소 생산을 유도할 수 있었다. 곰팡이 및 비-곰팡이 미생물기구는 미진한 안정화나 탈수가 될 경우 폐수 슬러지에서 벌킹과 거품을 일으켰으며 또한 슬러지 플록의 침전 특성을 방해하여 박테리아나 진균의 과잉성장으로 활성 슬러지 프로세스 운전을 어렵게 하였다. 또한 2001년 Alam 등에 의하면 진균 바이오매스를 사용하여 유기물질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도시폐수 슬러지 처리에서 액상 바이오전환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곰팡이는 생물 전환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안 슬러지에서 용해 및 불용성 물질과 동화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는 유기물 부하와 독성감소를 위해 필요하다. 최근에는 전처리 타입에 따라 다양한 효율로 유기혼합물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고 있다. 생물 재생방법은 고형물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고 슬러지를 와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산업폐수로 부터 중금속 제거와 회수를 위한 생물적 프로세스 적용은 지난 10년 동안 저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데 중요성이 있었다. 2003년 Lacina 등은 진균이 유기오염물과 과잉의 영양물을 제거하고 폐수 중의 염료 및 이의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진균이 독성 유기혼합물, 중금속 및 폐수 중의 독성 오염물을 제거한다고 하였으며 이중 몇 종의 진균은 슬러지 분해와 바이오 응집처리 에서도 효과를 보였다.
폐수 슬러지는 가치 있는 광물자원으로서 농업용 비료로도 사용된다. 슬러지는 약간의 금속, 병원균 및 유기오염물을 함유하고 있는 혼탁물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처리된 슬러지는 병원균 진균을 함유 하고 있어 환경적인 오염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USEPA의 503호 법규는 도시쓰레기 슬러지가 토지 적용에 앞서 병원균 감소 규정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그러므로 이러한 진균에 관한 연구는 향후 새로운 광물자원을 만드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