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에너지 생산국이면서 소비국이다. 2010년이 지나면 곧 미국을 제치고 세계 제일의 에너지 소비국이 될 전망이다.중국의 석탄 대량 소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CO2를 배출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재생에너지가 이상적인 해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풍력발전의 고속 성장은 좋은 견본이다. 에너지 정책이 시행되기 전에는 중국의 풍력발전 개발은 저속이었으나 시행 후 급속 성장하였고 2007년 누적 풍력발전은 중장기 재생에너지 개발계획의 목표였던 5GW를 넘어섰다.

풍력발전의 성공 요인들은 태양광발전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태양에너지는 충분하다. 전 국토의 3분의 2 이상은 연간 5000MJ/m2 이상의 태양광 조사를 받고 있으며 태양광 조사 시간은 2000h 이상이다. 그뿐 아니라 중국은 태양광전지 생산의 선도국가로서 2007년 1088MW를 생산하여 세계 1위가 되었다.
풍력발전 자원을 먼저 살펴보면 중국 땅의 75% 지역에서 풍력발전이 가능하며 에너지밀도는 50W/m2 이상이다. 풍속 3m/s 이상이 되는 시간의 총계는 연 2000h가 넘는다. 최근의 국가 통계에 따르면 이론적 풍력발전 용량은 700~1200GW가 된다.
미래 풍력에 대한 장애요소: 풍력발전의 설비용량은 성공적이었지만 발전량은 아직 목표미달이다. 풍력발전을 소화할 중국의 그리드 시스템은 풍력 산업계가 직면하고 있는 주된 난제이다. 현재 가동 중인 풍력발전 단지 중 대부분은 그리드 연결이 제한적이다.
중국은 풍부한 태양광 에너지자원을 가지고 있고 거대한 태양전지 생산 능력을 구비하고 있지만 설치된 태양광(PV, photovoltaic) 발전 설비는 매우 작다. 태양광발전을 크게 증진시키려면 기술 개발 혹은 정책의 변경을 통하여 발전 비용을 줄이지 않으면 안 된다. 풍력발전의 전례를 보면 호의적인 에너지 정책이 발전 비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화와 근대화를 추구하는 중국의 두 난제는 탄소 배출을 막고 에너지 공급을 확실히 하는 것이다. 재생에너지가 해답이 될 수 있는데 온실가스 배출이 없고 에너지원의 고갈이 없기 때문이다. 재생에너지 사용을 증진하려고 하더라도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기존의 화석에너지와 경쟁하려면 일련의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재생에너지 정책이 필요하다.
풍력발전의 급성장이 좋은 견본이다. 이정표가 되었던 재생에너지법과 몇 개의 관련 법령에 추가하여 발표된 WFCP가 풍력발전의 급성장에 결정적인 동기부여가 되었다. 이 WFCP는 PV 분야에 그대로 이전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더욱 발전시키려면 그리드 시스템을 개선하고 재생에너지 의무구성비 표준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